본문 바로가기
프로야구

프로야구 FA제도 등급제 연봉 나이 보상선수 자격취득 기준

by BJSJ 2021. 3. 9.

매년 프로야구 스토브리그의 최대 관심사이자 선수들에게는 일생 일대의 기회가 될 수 있는 FA제도, 오늘은 2021 FA 자격 취득 선수들부터 적용되고 있는 FA 등급제의 연봉 및 보상선수 자격취득 조건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았다. 

 

두산베어스 서현숙 치어리더님 인스타그램

www.instagram.com/seo_hsss/

 

□ FA 제도가 개정된 이유?

우리나라 KBO 프로야구는 1999년 FA제도가 시작 된 후 약 20년이 지난 2021년부터 FA 등급제가 도입되면서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다. FA 등급제는 선수들의 연봉, 재자격 취득 여부, 나이 등을 고려하여 등급을 A/B/C 3등급으로 나누고 각 등급마다 보상기준을 차등 적용하는 것이 핵심이다. 

 

그동안 FA시장은 선수들간의 부익부빈익빈이 극심하게 발생하였다. 보호명단 20명 외 보상선수 1명 과 직전연봉의 200%라는 보상 조건은 FA 활성화의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으며 이로 인해 리그 최정상급 선수들이 아니면 팀을 옮기기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그동안의 FA제도는 리그 최 정상급 선수들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것이 사실이다. FA제도의 취지가 그렇다면 뭐...

 

 

아무튼 이렇게 FA 등급제가 도입된 이유는 FA 자격을 취득한 선수들의 계약과 팀 이적을 좀 더 수월하게 함으로써 이를 통해 리그 내 팀들간의 전력 불균형을 완화를 통한 리그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겠다. 팀 간 전력이 평준화 될수록 리그가 더욱 재밌어지고 이를 통해 좀 더 많은 팬들이 경기장을 찾게 된다면 리그 전체의 수준과 규모 또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우리나라 프로야구 선수들의 연봉이 '거품이다' 라는 말에 대해서는 일부만 동의하는 편이라 이런 FA제도 등급제를 통해서 선수들의 이적이나 재계약이 좀 더 수월해진다면 선수들 스스로 동기부여를 통한 리그 수준의 상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프로 선수가 되기 위해 거의 10년 이상 또는 그에 준하는 시간 동안 들어간 노력과 비용(물론 다른 일도 마찬가지지만) 그리고 최대 40세 전후로 하게 되는 은퇴 뒤에는 정해진 소득이 없다는 점 등의 리스크를 고려했을 때 FA제도가 선수들의 생계 유지에도 좀 더 유리한 요소인 점은 분명할 것이다.  

 

※ 야구 팬으로서 좀 더 (친)선수의 입장으로 작성하였습니다.

 

FA 등급제 세부 기준

FA 등급별 세부 기준은 아래 표와 같으며 각 기준에 따라 FA 자격을 취득한 선수들의 등급이 정해지고 이에 따른 보상기준도 다르게 적용 된다. 

 

우선 A등급은 연봉 기준 팀내 3위와 리그 전체 30위(FA계약 기간 중인 선수 제외) 이내에 해당되는 선수들이며 A등급 선수를 영입하는 팀은 보상금 200% 와 보호선수 20인 제외 중 1명을 원소속팀에게 보상하여야 한다. 다만 원소속팀에서 보상선수를 지명하지 않을 경우 보상금이 300%로 올라간다. 기존 FA제도와 동일한 조건이 적용된다고 볼 수 있겠다.

 

<한국 프로야구 KBO FA 자격 등급제>

등급 연봉기준 보상기준 비고
팀 내 리그 보상금 보상선수
A등급 3위 이내 30위 이내 200% 보호선수
20인 제외
보상선수x, 300%
기존 제도와 동일
B등급 4위~10위이내 31위~60위 100% 보호선수
25인 제외
보상선수x, 200%
FA 재자격 취득
C등급 11위 이하 61위 이하 150% - 만 35세 이상
신규자격 취득 선수
FA자격 세번 이상 취득

 

B등급은 팀 내 연봉 4위~10위 이내이면서 리그 전체 31~60위에 해당되는 선수이며 보호선수가 25인으로 늘어나고 보상금은 100%로 내려가게 된다. 만약 보상선수를 선택하지 않으면 직전 연봉의 200%만 지급하고 선수를 영입할 수 있다. 또한 FA자격을 행사한 뒤 재자격을 취득하는 선수는 B등급 적용을 받게 된다.   

 

C등급은 간단하게 A등급과 B등급에 해당되지 않는 선수 전원이 해당되며 보상선수 없이 직전 연봉의 150%만 지급하면 영입할 수 있다. 만 35세 이상에 FA자격을 취득하거나 세번째 이상 FA 재자격을 취득하는 선수는 C등급을 적용 받게 된다.

 

전체적으로 FA 권리 행사 후 계약을 하지 못하거나 나쁜 조건에 계약을 하게 될 확률이 높은 선수들에게 좀 더 기회를 부여하는 것이 등급제의 핵심이라고 보면 될 것 같다. 

 

□ FA 자격 취득 기간 인정 기준

FA 자격 취득을 위해서는 고졸 9시즌 대졸 8시즌동안의 서비스타임을 소화해야 한다. 1년을 평가하는 기준은 단순히 프로 데뷔 후 경과 연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1군 등록일수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1시즌 145일을 1군에 등록해야 조건을 충족한 것으로 본다.

 

이렇게 1군 등록일수를 평가하는데에는 국제대회 출전 경력을 가산해주는데 올림픽과 WBC는 우승할 경우 60일, 프리미어12 40일, 아시안게임은 25일을 가산해준다. 이는 국제대회 참가 및 성적에 따른 1군 등록일 가산으로 FA 자격 취득기간을 단축시켜 선수들의 동기부여를 끌어내기 위함이며 실제로 적지 않은 선수들이 이런 가산제도의 수혜를 입기도 한다. 

 

※ 협회측에서 선수들의 동기부여를 위하여 국제대회 가산일수를 유동적으로 운영하기도 하며 기본적으로 올림픽과 아시안게임 메달 획득을 통한 군복무 혜택과 가산일수는 중복해서 수혜 받지 못한다.

 

□ 2022시즌 종료 후 FA 자격 취득 기간 단축

올 시즌이 아닌 2022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취득하는 선수들, 그러니까 2023 FA 선수들의 경우 현행 고졸 9년 대졸 8년인 FA자격 취득 기간이 고졸 8년 대졸 7년으로 각각 1년씩 줄어들게 된다. 개인적으로는 군 복무를 위해 한창 활동할 시기의 2년을 선수로서 활약하지 못한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9년이라는 자격 취득 기간이 다소 길다는 생각을 했었는데, FA 자격 취득 기간이 1년씩 단축이 된 것은 선수들 입장에서 환영할 소식일 것이다. 

 

참고로 미국 메이저리그 MLB는 FA자격 취득 기간이 6년(25인 로스터 등록 기준), 일본 프로야구 NPB는 고졸 8년 대졸 7년이다. 보상제도는 우리나라보다 다소 복잡한데 메이저리그 MLB는 보상금액 없이 신인드레프트권 양도, 일본은 우리나라와 동일하게 보상금과 보상선수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처럼 타이트하게 운영하지는 않는다. 

(요부분은 다른 포스팅에서 다뤄 보겠습니다.) 

 

※ 제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로그인 없이도 누를 수 있는 공감♡ 꾸욱 부탁드려요~^0^

댓글